본문 바로가기

라디오방송사

(2)
[53] 라디오 방송과 트로트 트로트는 단순히 부르는 노래가 아니었다. 그것은 시대의 감정이었고, 누군가에게 닿기 위해 퍼져야 했던 목소리였다. 이 감정을 가장 멀리, 그리고 가장 빠르게 퍼뜨린 기술이 바로 ‘라디오’였다. 1950년대 이후 한국 사회에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한 라디오는 트로트를 '도시의 무대 음악'에서 '전국민의 생활 음악'으로 바꾼 결정적인 매개체였다. 트로트와 라디오의 만남은 단순한 매체와 콘텐츠의 관계가 아니라, 감정과 기술이 만나 하나의 사회적 공명을 만들어낸 협업이었다. 이 글에서는 어떻게 라디오가 트로트를 전국의 골목, 골짜기, 식탁과 골방으로 퍼뜨렸는지, 그 역사를 살펴본다. 음악이 전파를 타기 전, 트로트는 ‘지방의 음악’이 아니었다라디오가 보급되기 전, 트로트는 주로 경성(서울) 중심의 극장,..
[52] 트로트를 만든 기계들: 대중의 감정을 담은 100년 음악 기술의 여정 트로트는 단순한 음악 장르가 아니라, 감정을 기록하고 전파하기 위한 기술의 역사와 함께 성장한 한국 대중음악이다. 축음기에서 AI까지, 트로트를 만든 기계들을 따라가 본다. 음악은 감정일까, 기술일까?음악을 이야기할 때 우리는 흔히 감정을 먼저 떠올린다. 사랑, 이별, 향수 같은 감정은 사람의 마음을 흔드는 가장 강력한 언어다. 트로트는 그런 감정을 가장 진하게 표현해낸 장르 중 하나다. 하지만 이 감정이 사람들의 귀에 닿기까지에는 반드시 거쳐야 할 ‘무형의 손’이 있었다. 바로 기술이다. 아무리 진한 감정이라도 그것이 들리지 않으면 존재하지 않는다. 노래를 저장하고 재생하며, 멀리 퍼뜨리는 역할을 해낸 건 감정이 아니라 기계였다. 축음기, 진공관 마이크, 라디오 송신기, 카세트테이프와 워크맨, 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