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로트의대중화 (1) 썸네일형 리스트형 [53] 라디오 방송과 트로트 트로트는 단순히 부르는 노래가 아니었다. 그것은 시대의 감정이었고, 누군가에게 닿기 위해 퍼져야 했던 목소리였다. 이 감정을 가장 멀리, 그리고 가장 빠르게 퍼뜨린 기술이 바로 ‘라디오’였다. 1950년대 이후 한국 사회에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한 라디오는 트로트를 '도시의 무대 음악'에서 '전국민의 생활 음악'으로 바꾼 결정적인 매개체였다. 트로트와 라디오의 만남은 단순한 매체와 콘텐츠의 관계가 아니라, 감정과 기술이 만나 하나의 사회적 공명을 만들어낸 협업이었다. 이 글에서는 어떻게 라디오가 트로트를 전국의 골목, 골짜기, 식탁과 골방으로 퍼뜨렸는지, 그 역사를 살펴본다. 음악이 전파를 타기 전, 트로트는 ‘지방의 음악’이 아니었다라디오가 보급되기 전, 트로트는 주로 경성(서울) 중심의 극장,.. 이전 1 다음